© 2025 파주가자. Created for free using WordPress and Kubio
강근숙 파주작가 고향 잃은 실향민이 조상님 그리워 찾아오는 임진각, 너른 마당 평화누리에는 ‘해병대 장단 사천강지구전투 전승기념비’가 세워졌다.[…]
강근숙 파주작가 하늘을 가린 나무 사이를 걸어 계곡의 맑은 물이 흐르는 돌다리를 건너면, 정빈 이씨의 원소 수길원이[…]
임진강 물결이 반짝이는 5월은 한반도의 역사를 담은 임진강으로 가보자. 37번 국도를 따라 임진강변을 가다보면 파평면 장승배기로에 자리한[…]
봄의 끝자락과 여름의 시작점이 맞닿은 5월, 새싹들은 이제 짙은 녹음으로 물들고 따스한 햇살은 대지를 포근히 감싸안는다. 이[…]
-강근숙 파주작가- 장릉의 입지와 역사적 배경 금천교를 건너 홍살문 앞에 서면 쭉 뻗은 향어로 박석이 보인다. 여기서부터는 신성한[…]
혹한 속 효장세자 영릉 묘역공사의 기록 1897년 2월 경운궁으로 환궁한 고종高宗은 연호를 ‘광무光武’로 개정하고 국호를 ‘대한大韓’으로 제정한다.[…]
6살에 세자로 책봉되고 10살에 요절한 추존왕 조선 왕릉 42기 중 영릉은 3기가 된다. 여주 능서면 왕대리에 세종과[…]
순릉의 조성과 구조 공혜왕후 장지가 정해지고 묘소 역사가 시작되었다. 삼도감에 소속된 책임자는 28명이었으며, 부역군은 광릉光陵의 절반 정도에[…]
공혜왕후의 생애와 왕실 권력의 정점인 왕에게 다가가는 최고 방법은 왕가와 혼인을 맺는 것이다. 상당부원군 한명회는 네 딸을[…]
강근숙 파주작가 공릉은 조선 제8대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의 능으로, 파주 삼릉 중 하나이다. 장순왕후는 계유정난의 일등공신 한명회의[…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