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s in 문화역사

파란만장했던 인조와 장릉

-강근숙 파주작가- 장릉의 입지와 역사적 배경 금천교를 건너 홍살문 앞에 서면 쭉 뻗은 향어로 박석이 보인다. 여기서부터는 신성한[…]

조선의 진종과 효순왕후의 마지막 안식처 ‘영릉’-2편

혹한 속 효장세자 영릉 묘역공사의 기록 1897년 2월 경운궁으로 환궁한 고종高宗은 연호를 ‘광무光武’로 개정하고 국호를 ‘대한大韓’으로 제정한다.[…]

조선의 진종과 효순왕후의 마지막 안식처 ‘영릉’ -1편

6살에 세자로 책봉되고 10살에 요절한 추존왕 조선 왕릉 42기 중 영릉은 3기가 된다. 여주 능서면 왕대리에 세종과[…]

성종의 원비 공혜왕후 순릉-1편

공혜왕후의 생애와 왕실  권력의 정점인 왕에게 다가가는 최고 방법은 왕가와 혼인을 맺는 것이다. 상당부원군 한명회는 네 딸을[…]

공릉(恭陵) – 비운의 세자빈 장순왕후의 무덤

강근숙 파주작가 공릉은 조선 제8대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의 능으로, 파주 삼릉 중 하나이다. 장순왕후는 계유정난의 일등공신 한명회의[…]

박해를 피해 온 갈곡리 성당

홍천과 횡성 지역에서 활동하던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1892년 광적면 우고리에 피신했다가 1896년 법원읍 갈곡리로 이주해 정착하게[…]

고려시대의 국립호텔 혜음원지

1998.8.5일부터 서울 및 경기지방에 1,100㎜ 이상의 국지성 호우가 발생하면서 우암산에 산사태가 발생했다. 당시 광탄면 용미4리 윤석한 이장은[…]